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말기암환자 섬망증상, 섬망 뜻, 대처하는 방법 총정리

by magosite 2025. 4. 7.

 

가족이 갑자기 달라졌다면, 꼭 알아두세요

말기암 환자를 돌보다 보면, 어느 날 갑자기 가족의 말과 행동이 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밤마다 중얼거리며 잠을 못 자요.
  •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지 못하고 헛것을 봅니다.
  • 갑자기 불안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합니다.
  • 정신이 또렷하던 분이 갑자기 다른 사람이 된 것 같아요…

이런 증상은 바로 ‘섬망(Delirium)’일 수 있습니다. 말기 환자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의식 혼란과 행동 변화 증상이며,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과 간병인 모두에게 큰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말기암환자 섬망증상, 섬망 뜻

 

🔍 섬망이란? (Delirium 뜻)

섬망은 급성으로 발생하는 뇌 기능 장애로, 의식 저하, 인지장애, 감정 기복, 수면장애, 환각 및 망상 등을 보이는 상태입니다.

갑작스럽게 나타나며 수시간 또는 수일 사이에 변화가 생기고 현실 인지가 어려워집니다.

✅ 말기암 환자에게 섬망이 나타나는 이유

  • 약물 부작용: 모르핀 등 진통제, 수면제, 진정제
  • 대사 장애: 고칼슘혈증, 저나트륨혈증, 간 기능 저하
  • 감염: 폐렴, 요로감염 등
  • 산소 부족: 뇌 산소 공급 저하
  • 수면 장애 및 환경 변화: 병실 환경, 낯선 자극
  •  

⚠️ 대표적인 섬망 증상

  • 환각, 망상
  • 시간·장소·사람 인지 저하
  • 불안, 초조, 공격성
  • 수면-각성 리듬 붕괴
  • 가족을 못 알아보거나 자신이 환자임을 인식 못함

증상은 수시로 바뀌며, 밤에 악화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섬망 증상,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섬망은 뇌 기능 저하와 전신 이상으로 생기는 의학적 문제입니다. 따라서 억지로 진정시키거나 혼내는 것은 금물입니다.

✔ 대처법 요약

  1. 전문의 상담 및 진단: 혈액검사, 약물 검토 등
  2. 복용 약물 조정: 진통제, 수면제 등 최소화
  3. 감염 또는 대사 이상 치료
  4. 환경 안정화: 조용하고 익숙한 공간 제공
  5. 가족의 정서적 지지: 자주 이름을 불러주고, 현재 시간·장소를 알려주기
  6. 필요 시 약물 치료 병행: 항정신병 약물은 전문의 판단하에
  7.  

📌 섬망, 무서운가요? 회복될 수 있을까요?

섬망은 원인을 조기에 파악하고 치료하면 회복 가능한 증상입니다.

그러나 말기암 환자의 전신 상태가 매우 저하되어 있을 경우, 회복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의식 저하나 말기 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이럴 때는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치료 방침을 정하고, 정서적 지지와 돌봄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섬망은 말기암 환자의 삶의 질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증상입니다.

의료적 판단과 함께 보호자의 이해와 대처가 함께할 때, 환자는 더 안정되고 평온한 마지막을 보낼 수 있습니다.